Archive
Best of ME Fertility Clinic:
[서울신문] 김진영의 여성의학 - 항암치료에도 난소기능 보존하려면
작성일PRESS RELEASE
본문
강남차병원 여성의학연구소 김진영 교수(현 베스트오브미여성의원 공동대표원장)가 2016년 11월 14일 '서울신문 - [김진영의 여성의학] 항암치료에도 난소기능 보존하려면' 칼럼을 기고했습니다.
김진영 교수는 '여성 생식기관인 ‘난소’의 능력은 태어날 때부터 정해져 있다. 나이가 들면서 매달 배란이 되고 일부는 계속 퇴화되며 난자 수가 줄어든다. 난포가 모두 소진되면 폐경이 온다'면서 '특히 항암치료는 난자를 빨리 고갈시켜 난소 기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고 설명하였습니다.
칼럼 내용 中
항암치료는 혈관에도 영향을 준다. 난소에 연결된 혈관과 주변 조직에 손상을 입혀 혈액 공급을 감소시키고 난자가 소실되게 한다. 이때는 항암치료 부작용인 ‘백혈구 감소증’을 예방하는 ‘과립세포군 촉진인자’를 이용한다. 이 인자를 투여하면 혈관 손상이 감소해 난포 손상을 완화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휴면 원시난포’의 조기 활성화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난소에는 여러 발달 단계의 난포가 섞여 있다. 가장 낮은 단계인 원시난포는 휴면 상태로 있고 그중 일부가 1~2차 난포로 성장한다. ‘난포자극 호르몬’에 반응해 주기적으로 활성화되면 ‘배란전 난포’로 성장하고 이후 배란이 된다.
폐경기까지 이런 배란 기능을 잘 유지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휴면 상태의 원시난포를 잘 관리하는 것이다. 휴면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난포가 지나치게 빨리 자라면 조기 폐경이 된다.
그런데 항암제는 난소에서 휴면 상태 원시난포들을 과다하게 활성화시킨다. 이렇게 커진 난포는 직접적인 항암제의 공격에 취약해지고 사멸 위험이 높아진다. 또 작은 난포들은 다른 난포들의 성장을 억제하는 인자를 갖고 있어 서로 성장을 억제하고 있는데, 난포가 성장한 뒤 파괴되면 이런 억제인자까지 감소하는 문제가 더해진다.
[서울신문] 김진영의 여성의학 - 항암치료에도 난소기능 보존하려면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1115029017&wlog_tag3=naver